정부의 '돈줄 죄기'의 지속과 맞물려 종합 부동산세 고지서 발송,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으로 인해 부동산 시장이 얼어붙고 있다. 다주택자들은 이미 올 상반기 매매나 증여 등을 통해 종부세에 대비해온 만큼 '버티자'는 분위기이며 실수요자들은 최근 고점 수준으로 가파르게 치솟은 집값에 부담감이 커진 만큼 '지켜보자'는 분위기로 부동산 시장이 더 얼어붙고 있다.
28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자 지수는 99.6로 연속 기준선인 100을 하회하고 있다. 저번 주에 이어 이번 주 1포인트 더 낮아지면서 98대로 내려왔다.
이 지수는 부동산원이 회원 중개업소 설문과 인터넷 매물 건수 등을 분석해 수요와 공급 비중을 지수화 한 것으로 기준선 100을 기준으로 '0'에 가까울 수록 공급이 수요보다 많다는 뜻이다. 즉 현재 부동산 시장은 사겠다는 사람보다 팔겠다는 사람의 비중이 더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심권인 용산·종로·중구를 제외한 4개 권역 지수가 추가로 내렸다. 강남 4구인 강남·서초·송파·강동구 등 동남권은 지난주 99.5에서 98.2로, 양천·강서·구로·영등포 등 서남권은 997에서 98.2로 떨어졌다. 성동·노원·도봉·강북 등 동북권은 99.4에서 99.3으로, 은평·서대문·마포구 등 서북권은 서울에서 가장 낮은 97.4를 기록했다.
역대급 종부세 고지서가 날아든 이후 다주택자들 사이에서는 '버티자'는 의견이 많은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종부세를 대비해 대부분 매매나 증여로 주택을 정리했기 때문이라고 한다.
서울 아파트의 증여 비중은 크게 늘었으며,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올 9월까지 서울에서 거래된 아파트는 7만9964건 중 증여 거래는 1만804건으로, 전체의 13.5%를 차지했다. 이는 관련 통계를 집계한 이래 1~9월 기준 가장 높은 수준이며, 문재인 정부 출번 초기 2017년 1~9월 3.8%보다 3.5배 늘어난 수치이다.
지금 처분하게 되면 양도세 부담이 크기 때문에 처분할 유인도 크지 않다. 정부가 지난해 발표한 대책에 따르면 지난6월부터 다주택자에 대한 양도세율은 폭증했다. 규제 지역에서 2주택자는 기본세율(6~45%)에 20%의 중과세율이 붙는다. 3주택 이상인 다주택자는 중과세율 30%가 적용된다. 최대 75% 지방세를 포함하면 82.5%에 달한다.
반면 집을 구매하려는 실수요자들도 '지켜보자'라는 분위기가 강하다. 먼저 집값이 가파르게 치솟으면서 추격매수하기에는 부담이 커졌으며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올 들어 서울 집값은 6.21% 올랐다고 한다. 지난해 상승률인 0.65%에 비하면 9.55배에 급증한 것이다. 여기에 기준금리를 인상하면서 대출 이자에 대한 부담도 늘어난것도 이유 중 하나이다.
거래가 이뤄지지 않다 보니 매물은 조금씩 늘어나고 있다고 한다.
신혼·생애최초 특공 '30% 추첨제' 시행…고소득·1인 가구도 기회일까
그동안 청약 당첨 기회가 없거나 희박했던 고소득 맞벌이 부부나 1인 가구, 자녀가 없는 신혼부부도 민간 아파트 특별공급 청약에 당첨될 수 있는 길이 일부 열린다고 한다. 15일 국토교통부에
9547.tistory.com
중국인에 뺨 맞는 콩고인..전기차의 숨은 비극
아프리카 콩고민주공화국(DR콩고)의 남부 풍구르메 광산에서 일하는 피에르는 하루 3.5달러(약 4100원)를 받고 일한다. 회사에서 지급한 점심은 작은 롤빵 두 개와 주스 한팩이 전부. 그는 적도를
9547.tistory.com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부, 오미크론 유입 막기 위해 입국제한 국가 확대 검토 (0) | 2021.11.28 |
---|---|
성폭행 고소한 30대 女, 성관계 뒤 웃으며 대화? (0) | 2021.11.28 |
'2021 사회조사'로 알아보는 한국인 인식, 38.5%는 흙수저라고 느껴, 60%는 계층 이동 힘들다고 느껴 (0) | 2021.11.28 |
신혼·생애최초 특공 '30% 추첨제' 시행…고소득·1인 가구도 기회일까 (0) | 2021.11.15 |
공무원 점심 휴무제 도입 (1) | 2021.11.15 |
댓글